미 국무부는 3월 11일 발표한 2007년도 인권보고서에서 북한을 이란, 시리아, 미얀마, 짐바브웨, 쿠바, 벨라루시, 우즈베키스탄, 에리트레아, 수단과 함께 세계 최악의 인권위반국으로 지정했다.
매년 발간되는 미국무부의 인권보고서는 세계 190여 개 나라를 대상으로 10대의 인권위반국을 지정하고 있다.
보고서에서 북한은 "세계에서 가장 조직적인 인권침해가 이뤄지고 있는 나라"로 "여전히 심각한 인권침해들이 무수히 자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 사례로 북한에서는 “절대 독재권력이 주민들의 일상생활을 거의 낱낱이 통제하는 억압정책이 시행되고 즉결처형과 실종, 정치범 등의 무단구금이 벌어지고 있다”며 “북한 내 강제수용소에서는 "임신 여성들이 낙태를 강요당하고, 사산하는 경우가 있었다"고 예시했다.
또한 북한 당국은 주민들의 전화통화를 철저히 감시하고 15만-20만명에 달하는 정치범 수용소를 운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 일례로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에 참가했다 돌아간 여성 응원단원들이 남한 내 목격담을 이야기했다는 이유로 투옥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는 강제 북송된 탈북자들이 북한당국의 처벌에 직면해 있으며, 중국 국경 너머와 외국인과 접촉했다는 이유로 투옥되거나 처형되는 사람들까지 있다고 밝혔다.
또한 보고서에는 인신매매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일부 여성과 처녀들은 가족이나 납치범들에 의해 중국 남성의 아내나 첩으로 팔려갔다"고 수록했다.
한편 이번 보고서에는 2005년과 2006년 최악 인권위반국으로 분류했던 중국을 제외하고 수단과 시리아, 우즈베키스탄을 10대 위반국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보고서는 중국의 인권상황은 "전반적으로 열악한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이모란 기자 limoran@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