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소식통에 의하면 북.중 국경지역에서 휴대폰 사용을 철저히 단속하라는 김정일의 지시로 국가안전보위부에서 전파탐지기를 휴대하고 차를 타고 다니면서 휴대폰 발신추적을 하여 단속을 하고 잡아가고 있다.
일단 휴대폰을 사용하다가 단속이 되면 어디와 통화를 했는가에 따라 그 엄중성이 차별화된다. 중국과 통화한 것은 벌금만 물면 용서받을 수 있지만 한국과 통화한 것이 드러나게 되면 벌금과 함께 그 처벌은 엄중하다.
그러나 단속기관원인 보위원들이나 보안원들에게 미리 돈만 찔러 주면 모르는 체 눈감아 준다. 지금 국경지역에는 중국이나 한국에 있는 친척들과 통화하는 사람들이 부지기수이다.
회령시에 살고 있는 김영철씨(42세 가명)는 한국에 입국한 친척과 자주 전화통화를 한다. 어느 날 보위부에서 찾아서 가보니 언제 한국과 전화통화를 하지 않았느냐 무슨 이야기를 했으며 돈을 얼마 받았느냐 꼬치꼬치 캐물었다.
다 알고 물어보기에 김씨는 하는 수 없이 대답했다고 한다. 그러자 보위원이 “탈북만 하지 말라. 전화하는 것까지는 눈감아 줄 테니 더불어 살자.”며 돈을 요구했다. 김씨는 뒤탈이 두려워 100달러를 보위원에게 찔러 주었다.
북한에서 다른 사람들의 경우에도 이런 일이 비일비재하다. 한국이나 중국에 전화통화를 하다 걸리는 사람들은 일명 ‘재수 없는 사람’이고 나머지 사람들은 미리 뇌물을 주었기 때문에 단속을 피할 수 있다고 한다.
아무리 당국에서 통제를 강화하라고 해도 목구멍이 포도청이라 단속하는 사람들도 웬만해서는 뇌물을 받는 것이 서로에게 편한 것이다. 이런 현상은 휴대폰 통화뿐이 아니다. 다른데서 신소만 제기되지 않는다면 도강(불법월경)도 무마된다.
결국 북한은 김정일이 원하든 원치 않던, 사회의 흐름이 개혁 개방 쪽으로 흐르고 있다. 돈이 만능이라는 자본주의 사회보다도 더 자본주의화 되고 있는 것이 바로 북한의 현실인 것이다. 북한은 겉은 멀쩡해 보이지만 속은 곪을 대로 곪아 터지기 직전이다.
북한에서 독재정치가 사라지고 자유와 민주화가 실현되기 전에는 이러한 부정부패가 절대로 사라질 수가 없다. 가강 시급한 것이 바로 북한의 개혁개방이다.
이금룡 기자 krlee2006@hot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