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을 방문한 리수용 북한 외무상은 23일(현지 시각)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과 한국이 연례 합동군사훈련을 중단하면 북한도 핵실험을 중단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이 국제 사회의 대북 제제에 굴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리수용, "핵에는 핵으로 대응할뿐"
리 외무상은 앞서 지난 21일 뉴욕 유엔본부 '2030 지속가능 개발목표(SDG) 고위급회의' 대표 연설에서 “핵에는 핵으로 대응하는 것뿐이다”라며 북한의 핵개발을 정당화하기도 했다.
북한은 지금까지 매번 겉과 속이 다른 핵정책을 써 왔다. 대외적으로는 핵개발을 않겠다고 해놓고 내부적으로는 숨어서 핵개발을 계속해왔다. 이런 속임수로 지금까지 4차례 핵실험을 했다. 5차핵실험 준비움직임도 관측되고 있다. 23일엔 김정은이 지켜보는 가운데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실험까지 하기도 했다.
북의 조건부 핵실험 중단 제안은 고강도 제재 모면 술수
북한이 과거 수많은 속임수와 지금도 중단없는 핵과 미사일실험을 하는 것으로 볼때 리수용 외무상의 조건부 핵실험 중단은 고강도 제재를 모면하려는 또 다른 속임수일뿐이라고 전세계는 의심하고 있는 것이다.
또 리수용은 이날 북한의 핵개발 원인이 한미연합훈련때문인 것처럼 책임을 상대방에 전가했다. 한미연합훈련은 북한이 먼저 핵개발을 시작했기 때문이며 이는 어디까지나 북한의 핵선제공격을 억제하기 위한 방어훈련인 것이다. 이런 사실은 북한도 잘 알것이다. 그럼에도 그가 정기총회가 아닌때 외무상 자격으로 유엔까지 황급히 달려와 서방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조건부 핵개발중단을 제안한 것은 역시 고강도 제재고통에서 벗어나려는 일시적 술책일 것으로 보인다.
북, 진정 한반도 평화 원한다면 핵폐기 선언 부터 해야
리수용 외무상은 이날 뉴욕주재 북한 대표부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우리가 계속 이런 대결의 길을 가게 된다면 두 나라(미국과 북한)뿐 아니라 전 세계가 재앙적 결말을 맞게 될 것”이라며 핵전쟁도발을 암시했다. 그는 한미연합훈련을 ‘핵전쟁연습’이라면서 선전전을 이어갔다.
그의 이날 인터뷰모습은 21일 '2030 지속가능 개발목표(SDG)고위급회의'연설때 북한이 최후의 승리자가 될 것이라고 큰소리 탕탕 치던때와는 달랐다. 이날은 압박받는 취약자 시늉을 했다. 북한이 진정 한반도평화 정착을 원한다면 핵실험 중단이 아닌 핵폐기 선언부터 하고 이를 실천해야 할 것이다.
http://insidetheworld.net/article/view.php?bbs_id=news&doc_num=24992